TIL(Today I Learned)/스파르타 내배캠

[TIL] 24/01/03 심화 팀프로젝트 회고

개발자먼지 2024. 1. 5. 01:18
반응형

새롭고 어려운 건 힘들었지만 극뽁해냈고 뿌듯했다! 

TIL

이번 프로젝트의 개인적인 어려웠던 점

1) 타입스크립트로 하는 첫 프로젝트인 점

공부할때랑 실제 사용의 갭이 컸따..

 

2) supabase를 처음 이용했던 점

할말. 하않. sql 도 공부해야하나? >.<

누가 설명 잘써있다고 했어요. -_-
db 설정 손으로 하나하나 할 수는 있는데 그런건 설명엔 잘 없고 sql 문만 거의 써있어서 처음에 알려준 분 없었으면 더 많이 헤맸을 듯.
특히 foreign key ..

 

팀프로젝트 KPT 회고

Keep -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 계속 이어나갔으면 하는 부분

진호

  • 각 파트별로 진행을 했는데 온전히 해당 파트에 집중해서 기능 개발을 할 수 있었다.
  • 부족하거나 미완성, 팀 회의가 필요한 시기에 다같이 모여들어서 자연스럽게 의견을 공유하는 문화가 좋았다.
  • 의견을 제시할 때 여러 선택지에 대해서 본인의 선택의 이유가 있는 점들이 좋았다. 그를 토대로 우리 프로젝트 방향성을 정할 때 훨씬 쉬웠다.
  • 팀원과의 소통이 매우 잘 통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모르는 부분이나 해결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서슴없이 질문을 통해 다같이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 현재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진행 상황을 바탕으로 남은 일들을 종합하여 가시적으로 우리가 어느 정도 수준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용승

  • 개발에 들어가기 전에 충분히 시간을 가지고 회의를 해서 탄탄한 기획이 나왔던 것 같다
  • 일종의 프로토타입 함수를 만들어두고 그에 맞게 작성하다보니 코드가 깔끔해지고, 구현에 큰 도움이 되었다
  • 팀원들 개개인의 수준이 높아서 프로젝트가 잘 나왔고, 개발 과정은 물론 힘들었지만 그런 와중에 즐겁고 공부가 많이 되었다.

주희

  • 믿음의 조원들 (다른 파트는 신경안써도 막 다 되어있어서 좋았다)
  • 초반에 적당한 양의 필수구현을 정해 두었던것 같고, 나름 금방 끝나서 추가 구현도 멋있게 나온 것 같아요.
  • 다른 분들 코드를 보면서 많이 배울 수 있었다. (이렇게도 할 수 있구나? 뭔가 깨어나는 느낌)

효창

  • 뛰어난 분들과 협업 하게 되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경험이 되었습니다.
  • 배운 것들을 내 것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이 너무 즐거웠고 만족스러운 프로젝트였습니다.
  •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보며 나도 저렇게 해야지라는 마인드를 계속 이어나가려고 합니다.

Problem -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

이진호

  •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변경되는 점들이 생각보다 많았다. 물론 시작할 때 많이 보다 탄탄한 기획을 하고 시작을 했지만 더 탄탄하게 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supabase database 설정 등)

송용승

  • 내가 맡은 부분의 구현이 더뎌져서 팀원분들이 늦게까지 깨어있어야 했던 점이 아쉬웠다
  • 함수를 미리 정의한다고 했는데 프로젝트가 완성에 다다르면서 처음에 생각하지 못했던 함수를 만들어야 하는 일이 생겨서 시간이 많이 소요됐다
  • 와이어프레임 및 UI 설계와 개발을 병행하다보니 시간을 많이 끈 것 같다. 전반적인 디자인을 담당했던 사람으로서 미안하고 아쉬운 부분이다.

김주희

  • 처음 해보는 환경/기술이 많아서 처음에 오래걸리고 힘들었음. 수파베이스 / 타입스크립트 미숙 (이전 프로젝트에서 했던 기능인데도 환경이 변경되니까 또다시 처음한 것처럼 오래걸렸다.)
  • 초반에 잡아 놓은 갓지노님 코드가 너무 어려워서 적용이 힘들었다. (나중에는 구조가 다 잡혀있어서 좋았다.)
  • 다른 분들 코드를 참고하려고 본 코드들 말고는 잘 모른다? 누가 무슨 기술 썼는지 말로만 듣고 구현 어떻게 했는지 아직 잘 못봐서 못 배움..

정효창

  • 뭐든것이 새로운 환경에서 기능 개발을 하게되어 처음에 기능 개발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 기능 개발에 있어서 중복되는 코드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위한 로직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 기능 개발에 있어서 기능을 구현할때 좀 더 나 자신의 자신감을 가지고서 코딩을 해야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Try - Problem에 대한 해결책, 당장 실행 가능한 것

이진호

  • 여러 시뮬레이션을 돌려보거나 라이브러리를 찾아보는 등 프로젝트에 대한 방향성에 대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시간을 가진다.

송용승

  • 기획이 어느정도 나오고 기능 명세를 작성할 때 브레인 스토밍도 좋지만 역할 분담을 통해 각자 작성하고 피드백하고 다시 작성하는 순환으로 진행하면 더 좋을 것 같다.
  • 와이어프레임 잘 만들기!

김주희

  • 나→ 코딩 연습이 많이 필요하다! (갓진호 같이 술술 쓰고 싶어요) → 오래 걸리기 방지
  • 팀→ 코드리뷰 많이 많이 했으면 좋겠다! → 팀원코드도 내 것처럼 알게 하기

정효창

  • 새로운 개발 환경에 빨리 적응할 수 있는 실력을 키워야겠다!
  • 기능을 구현하기 전에 그냥 시작하는 것이 아닌 많은 생각을 하고 정리가 된 후에 로직을 만들어 봐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