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먼지 개발 log

[취업준비] 이력서 완성주차, 최종 플젝에서 잘한 점 / 단점 극복 본문

TIL(Today I Learned)/스파르타 내배캠 최종프로젝트

[취업준비] 이력서 완성주차, 최종 플젝에서 잘한 점 / 단점 극복

개발자먼지 2024. 2. 15. 01:19
반응형

계획 계획

갑자기 P가 J가 되지는 않지만~

P를 일 시키는 것도 결국엔 계획이었다.

 

나는 약간 산만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집중해서 하나 하나 처리하려면 계획을 조금더 작은 단위로 작성할 필요가 있었다.

큰 덩어리일 때 보다 하나 하나 클리어해 가는 맛이 있다.

그래서 남들 할일 계획표에 비해 세부적인 경향이 있다.

헤더에 알람 받는 부분 구현 이라고 적고 그 안에 다시

- DB에 알람이 있으면 읽어와서 useState로 저장(useQuery)
- DB에 알람이 들어오면 List에 추가 (invalidateQueries)

- 알람 클릭시 게시물로 이동 및 알람내역에서 삭제 (useMutation)

- 알람이 있으면  종 UI 변경

- dropdown 바깥 클릭시 닫힘 적용

등등을 자세히 명시해둔다.

이렇게 적어두면 할일을 빠뜨리지 않으니까 좋은점도 있다.

할일을 적어야 일을 시작하게 되는 효과도 있었다. (내가 나를 일시키는 법!) ㅋㅋ

 

관리 관리

기존 회사 생활에서는 관리자 역할을 한적이.. 있긴 있지만 회사 시스템 대로 억지로 했다면 (WBS, JIRA), 

최종 프로젝트에서는 진짜 필요해서 기존 시스템을 카피해서 도입해보았다.

오전 오후 스크럼은 시켜서 한거지만 매일의 할일 관리와 프로젝트 진행 상황 파악에 좋았고,

제안 사항이나 발견한 이슈를 알려주기 위한 Issue report 페이지라던가,
할일 목록 페이지에는 노션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해 개인별 기능별 우선순위 별 진행상황을 관리 할 수 있게 했다.


뭐 나와서 보니  회사 시스템에도 다 이유가 있었고.. ㅠ

일일보고 진짜 하기 싫었는데.. ㅎ

스스로 하고있었다.

보고를 위한 보고는 별로지!

매일의 진행상황 정리는 개인을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0^

반응형